IIFE?
즉시 호출 함수 표현식.
주로 이름 충돌 최소화 및 private 변수 생성에 사용되는 자바스크립트 디자인 패턴 이다.
참고 사이트 : https://velog.io/@bisu8018/JS-IIFEImmediately-Invoked-Function-Expressions-%EB%9E%80
//함수 단축 표현식으로 함수 리터럴을 사용하는데
const time = function () {
let min = 60;
let hour = min * 60
let day = hour * 24
let week = day * 7
let month = week * 4
let year = month * 12
return {min, hour, day, week, month, year};
}
console.log(time) //실행을 할 때 func로 만 출력하면 그 함수의 순수 코드내용이 보이게 된다.
// ƒ () {
// let min = 60;
// let hour = min * 60
// let day = hour * 24
// let week = day * 7
// let month = week * 4
// let year = month * 12
// return {min, hour, day, week, month, year};
// }
console.log(time()) //실행을 할 때 func()로 출력해야 그 함수가 실제로 동작된 내용을 볼 수 있다.
IIFE (즉시 호출 함수 표현식)을 접했는데 이 표현식을 사용하지 않고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엔 어떤 것이 있을지 뚱땅대다가 함수 단축표현식으로 함수리터럴을 만들었을 때의 사용법을 알게 됐다!
IIFE로는 time 상수를 선언한 마지막에 함수 호출 기호인 ()를 추가해주면 된다.
즉시 실행 함수는 그 즉시 실행된 뒤에 전역에서 사라진다. -> 전역변수 사용을 억제해준다
'엘리스 ai 트랙 > 개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동기 통신 (0) | 2022.02.08 |
---|---|
FormData, 복리계산기 (3주차) (0) | 2022.02.07 |
closure 공부하기 (0) | 2022.01.28 |
Node 객체 공부 중에 (0) | 2022.01.26 |
git push 오류 (0) | 2022.01.19 |